풍전등화 위기에처한 ‘江陵 大’ 운명이여!

정인수 | 기사입력 2013/02/22 [15:02]

풍전등화 위기에처한 ‘江陵 大’ 운명이여!

정인수 | 입력 : 2013/02/22 [15:02]
‘風前燈火’의 위기에 처한 ‘江陵 大’ 운명이여!
 
▲ 정인수 전 도의원(3대,5대 도의원)     ©하이강릉
최근 강릉원주대 대학구조개혁위원회가 강릉ㆍ원주캠퍼스 간 일부 학과 이전 및 통ㆍ폐합 등을 골자로 한 구조조정(안)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지자 강릉지역에서 거센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동 구조 조정안을 보면 원주캠퍼스를 공학 전공 캠퍼스로 특성화하기 위한 조치로 강릉캠퍼스의 전기공학과와 산업정보경영학과, 토목공학과 이전이 주 대상이다. 반면 강릉캠퍼스 공과대학은 가칭 ‘신소재에너지대학’으로 원주캠퍼스 문화대학은 ‘보건복지대학’으로 각각 개편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강릉캠퍼스의 근간을 지켜 주는 공과대학의 이전 문제다. 조정안에서 보듯이 강릉캠퍼스의 세라믹신소재공학과와 신소재금속공학과를 통합하여 원주캠퍼스의 컴퓨터공학과와 멀티미디어공학과, 정보기술공학과와 정보통신공학과와 통합한다는 계획이다. 사실상 강릉캠퍼스의 노른자위인 공과대학이 원주캠퍼스로 이전하게 되면 강릉캠퍼스의 위상은 추락하고 만다.

 필자는 오래전 강릉원주대학의 미래에 대하여 나름 전망하면서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 바 있음을 상기하지 않을 수 없다. 강릉신문 2011년 5월25일자 칼럼을 통해『강릉대 캠퍼스 ‘工科大’를 사수하라!』제목의 장문의 글을 통해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하면서 대비책을 강구하여야 한다고 역설했다.

 원주캠퍼스에서 2111년 3월22일자로 대규모의 과학기술대학이 건물(116억 원 사업비 투자)이 준공된 것과 2007년 강릉캠퍼스에 있던 컴퓨터공학과와 정밀기계공학과가 원주 캠퍼스에 이전 한 자체가 이미 공과대학 이전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역설했다.

 강릉캠퍼스가 아닌 원주캠퍼스에 중앙정부의 대폭적인 지원을 받아 과학기술대학이 건립된다는 것 자체는 강릉캠퍼스에 매우 불리하게 요인이었음에도 강릉에서 소위 대의기구인 의회를 비롯한 어떤 단체도 또는 어떤 인사(有志)도 혜안을 갖고 선견지명을 앞세워 이를 공식적으로 거론한 적 없었던 것이었다. 

 필자는 강조했다. 강릉캠퍼스의 공과대학 이전은 심상치 않은 전조(前兆) 이므로 대응책을 서둘라고 촉구했다. 강릉시민 의식의 특징은 어떤 사안이 터진 뒤에야 뒷북을 치는데 명수(名手)라는 점을 꼬집으면서 원님 떠난 뒤에 나팔 불지 말고 유비무환의 자세로 적극 나서라고 했던 것이다.

 또 2011년 10월24일『청담포럼』주최 ‘위기에 처한 강릉원주대학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한전 강릉지사 대강당)에 패널로 참석한 필자는『위기의 강릉원주대학 진단을 통한 解法』이라는 제목의 주제를 발표한 바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011년 9월23일 대학구조조정위원회를 통해 강릉원주대를 비롯한 국공립대학 5곳을 구조개혁중점대학으로 선정했다. 이러한 정책의 변화는 강릉원주대학의 미래를 어렵게 했다. 구조개혁이 없으면 장차 대학 존립마저도 흔들리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사태의 심각성을 염려한 나머지 청담포럼에서 긴급 대토론회를 갖고 공론화하자고 제의하여 성사시켰던 것이다. 그때까지 시장을 비롯한 선출직 공인은 물론 내 노라 하는 유수한 단체까지 침묵했다. 심지어 시의회 차원에서 앞장서지 않았다. 그나마 개인 자격으로 위기의 강릉대학을 염려한 김화묵(현 의장)ㆍ권혁기 시의원이 토론자로 참여하여 체면을 세워주었던 것이다.

 제법 많은 사람들이 토론장에 모였다. 특히 대학교 주변에서 원룸을 운영하는 많은 분들이 모인 것은 인상적이었다. 허기야 강릉대학이 왜소화 되거나 장차 존립 자체가 위험에 빠지면 우선적으로 피해를 보는 사람들이 바로 대학을 쳐다보고 원룸 및 상가를 운영하는 시민들이라는 것은 명약관화한 일이다.

 이날 토론은 열띤 분위기에서 진행되었다. 필자는 풍전등화(風前燈火)와 같은 운명에 처한 강릉원주대학을 비판하면서 당초 원주국립전문대학과 비교하여 덩치가 큰 강릉대학이 짝짓기를 한 것부터 잘못된 것이라 지적했다. 원래 4년제인 삼척산업대학과 윈-윈(win-win)했어야 했던 것이다. 그때 강릉대에서 미래 학교 발전을 위한 대승적 차원에서 기득권 상당 부분을 양보하는 미덕을 가졌더라면 삼척대가 강원대와 동거에 들어가지 않았을지 모른다.

 결국 다윗과 골리앗에 비교 될 정도의 기껏 200~ 300명이 있는 원주국립전문대와 손을 잡았다. 원주 지역 입장에서는 호박이 넝쿨째 굴러들어 온 결과인 반면에 강릉의 입장에서는 돌이킬 수 없는 엄청난 손해를 보았던 것이다.  강릉 발전의 원동력은 대학의 존재감에서부터 출발한다. 흔히들 대학은 굴뚝 없는 산업체라고 비유할 정도로 그 지역의 경제와 학원 문화의 메카인 것이다.

 2007년, 원주 전문대와 통합을 막지 못한 것은 천추의 한이 아닐 수 없다.  각설하고 대학 통합은 현실이다. 과거로 회귀할 수 없는 것 또한 엄연한 현실이다.  문제는 대학의 향후 발전 방향과 진로이다. 강릉캠퍼스는 큰 집으로서 구실을 다해야 한다. 그런데 큰집이었던 왕년의 강릉대가 이제 작은집 격인 원주국립전문대였던 원주캠퍼스에 쏠림현상을 빚고 있는 주객이 전도되어도 유분수라 할 것이다.

 필자는 2년 전 이를 내다보고 강릉시민과 지도층에 각성을 촉구하면서 미연에 방비책을 마련하자고 간절하면서도 애타게 호소했다. 필자는 선출직 공인도 아니며, 강릉의 전통적 대성(大姓) 집안도 아니며, 뚜렷한 학연을 갖고 있지도 않으며, 사람을 움직일만한 재력을 지니고 있지도 않으며, 여당 소속으로 호가호위하는 입장도 아닌 비학비재(非學菲材)하기 이를 때 없고 세궁(細窮)한 처지에 감히 사람을 끌어 모아 기병(起兵)하기가 쉽지 않았다.

『위기에 처한 강릉대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에서 필자의 발언 일부를 그대로 옮겨보기로 하겠다.  “주제 발표자인 제(필자)가 전망할 때 강릉에는 4년제 국립대학이 존재하지 않을지 모른다는 불확실한 시대가 온다는 것입니다. 잠시 미래 강릉을 연상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통계에 의하면 대한민국 인구가 2017년을 분수령으로 감소가 시작되어 2070년이면 현재의 5천만 인구가 3천만 미만으로 급감하는데 인구 1/3이 줄어든다고 할 때 강원도 인구는 100만 명이 될 것이고 강릉 인구는 비례하여 15만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12년이 되면 대학 신입생의 40%가 줄어들어 대학의 구조조정은 필요적인 것이라고 공언하고 있는 형편입니다.”

 필자는 이어 장차 학생자원 부족과 학사운영의 과중한 예산 절약을 이유로 전국 4년제 대학이 구조조정에 들어 가『1도(道), 1 국립대학』이 정착되면 강릉에는 대학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경고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필자는 토론을 통해 만시지탄 감 없지 않으나 지금이라도 국회의원을 비롯한 시장과 시의회가 주동이 되어 강릉시민의 의사를 대변할 수 있는 각계각층의 시민들로 구성된 ‘범(汎)시민 공과대 이전 반대 비상대책위’를 결성하여 ‘공과대’ 사수를 위해 총 궐기에 나서야 한다고 간절히 호소하는 것으로 토론을 마쳤다. 벌써 2년전 의 일이 되었다. 그동안 허송세월 한 것이나 다름없다.

 다시 공대를 이전한다고 하니까 벌떼처럼 들고 일어났다. 특유의 냄비 근성을 보는 것 같아 유감이다. 그러나 이번만은 쉬 뜨거워지고 쉬 식는 냄비처럼 되어서는 결코 안 될 일이다. 끝장을 보라는 뜻이다.

 오호통재(嗚呼痛哉)라! 왕년의 강릉대 영화(榮華)는 도대체 어디로 가고 이제 빈껍데기만 남으려하는가.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강릉대학이 뿌리가 일천한 원주전문대에 밀린다는 것은 강릉의 자존심마저 무너뜨리는 것이다.

 노른자위 공과대 이전을 막지 못하면 많은 학생들이 원주지역으로 옮겨가게 된다. 또 학사운영의 주체가 강릉캠퍼스에서 원주캠퍼스 중심으로 옮겨가고, 그나마 명맥을 유지해 오던 대학 주변 상가의 경제가 위협 받고 나아가 강릉의 경제가 휘청거리는 도미노 식 붕괴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강릉에 있는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 재학생, 2만 여명의 대학생들이 지금까지 수 십 년 동안 강릉 경제에 적지 않은 기여를 했고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그러나 이런 공(功)에 대하여 과소평가했거나 간과한 면 없지 않다고 우리는 반성해야 한다.

 강릉캠퍼스의 공과대 사수(死守)를 위해서는 강릉시주식회사 대표인 시장과 시의회 의장이 중심이 되어 테스크포스(TF) 그룹을 조직하여 사즉생(死卽生)의 각오로 머리를 삭발하고 단식을 감행하는 결연한 모습을 천명할 때만이 중지(衆志)가 모아지는 응집력을 불러 일으켜 공대 이전 원천 저지가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끝)

필자인 정인수씨는 제3대, 5대 강원도의원을 지냈다.(편집자 주)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나서지마소 13/04/11 [11:37] 수정 삭제  
  대학이 살아남기위해서 자체구조조정을 하는것은 당연한것인데 제대로 지원도 못하면서
반대를 위한 반다만하는 지역이 참으로 한심하오
존경합니다 13/02/23 [09:34] 수정 삭제  
  예언은 현실에 직면 했습니다. 누구도 이 당면과제를 심도 있게 고민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냥 남들이 말하는대로 남들이 움직이는대로 같이 몸을 맡기는 쇼에 불과합니다. 대학교 총장이 강릉원주대의 뿌리를 원주로 옮기고자 한다면 그 누가 막겠습니까?

강릉원주대에서 강릉은 유배지캠퍼스가 되어 버렸습니다.
헉스 13/02/22 [16:55] 수정 삭제  
  읽다가 너무 길어서 지침 ~~~
 
광고
광고
강릉선거구, 민주 김중남 5일 강릉초에서 사전투표
칼럼/기고/논평 많이 본 기사